
충격! 국민평형 84㎡ 70억 돌파, 3.3㎡당 2억 시대
| 부동산 트렌드
| 부동산 트렌드
서울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원베일리’ 아파트에서 국민평형으로 불리는 전용 84㎡(공급면적 34평)가 70억원에 거래되는 신기록이 탄생했습니다. 국민평형에서 3.3㎡당 거래가가 2억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는 점에서 부동산 시장에 큰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3일 래미안원베일리 단지 12층에 있는 84.96㎡(공급면적 112㎡) 1가구가 70억원에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를 공급면적 기준으로 환산하면 3.3㎡당 2억661만원에 달합니다.
이는 전용면적 84㎡인 아파트가 3.3㎡당 2억원을 넘긴 첫 사례로, 같은 면적 기준으로 올해 1∼2월 거래 가격인 52억원∼55억원과 비교했을 때 불과 1~2개월 만에 약 27~35%가 상승한 셈입니다.
거래 시기 | 거래 가격 | 3.3㎡당 가격 | 비고 |
---|---|---|---|
2025년 1-2월 | 52억~55억원 | 약 1.5억~1.6억원 | 연초 거래 가격 |
2025년 2월 20-22일 | 55억원 | 약 1.6억원 | 마지막 거래 기록 |
2025년 3월 3일 | 70억원 | 2억661만원 | 신기록 달성 |
🔍 주목할 점: 마지막 거래는 지난달 20일과 22일 84.95㎡(3층)와 84.98㎡(29층) 타입이 각각 55억원에 계약된 후, 약 열흘 만에 15억원(27.3%)이 상승한 것입니다. 이는 일반적인 부동산 가격 상승 패턴을 크게 벗어난 이례적인 상황입니다.
래미안원베일리는 서초구 반포동에 위치한 프리미엄 아파트로, 강남권의 핵심 입지를 자랑합니다. 교통, 교육, 생활 인프라 등 모든 면에서 최상위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한강변에 위치한 희소가치 높은 단지입니다.
부동산 시장에서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입지가 좋고 가치 하락 위험이 적은 프리미엄 아파트에 자금이 집중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최근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이러한 경향이 더욱 강화되고 있습니다.
지난달 토지 거래 허가 구역 해제가 이루어지면서, 그동안 억눌려 있던 거래 수요가 한꺼번에 시장에 나타난 것으로 보입니다. 규제 완화가 프리미엄 단지 가격 상승의 기폭제 역할을 한 것입니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5년 공동주택 공시가격안에 따르면, 전국에서 가장 비싼 공동주택은 강남구 청담동의 ‘에테르노청담’입니다. 전용 464.11㎡의 공시가격이 무려 200억6000만원 수준에 달합니다.
참고로 이 주택의 분양가는 300억원에 달했으며, 공시가격은 실거래가의 약 67% 수준으로 책정된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초고가 주택들의 등장은 한국 부동산 시장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서울 프리미엄 아파트 가격 더 알아보기 →A: 국민평형이라 불리는 84㎡(약 34평)는 한국의 3~4인 가구에게 적합한 크기로, 대다수 아파트 단지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평형입니다. 일반 가정이 선호하는 크기이기 때문에 시장성이 높고, 부동산 시장의 주요 지표로 활용됩니다.
A: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부동산 가격을 ‘평당’ 가격으로 환산하여 비교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3.3㎡는 1평과 동일하며, 이 단위 가격을 통해 다양한 크기의 부동산 간 가격 비교가 용이해집니다.
A: 프리미엄 단지의 고가 거래는 주변 유사 단지의 호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부동산 시장의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일반 서민들의 주택 구매 가능성을 더욱 낮추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부동산 전문 블로거 홍길동입니다. 래미안원베일리의 이번 거래 소식은 저 역시 놀라움을 금치 못했습니다. 10여 년간 부동산 시장을 지켜봐 온 입장에서, 국민평형이 70억을 돌파한 것은 정말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었습니다. 서울 핵심 지역 부동산의 상승세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그리고 이것이 일반 서민들의 주거 안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깊이 고민하게 되는 시점입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로 여러분의 의견을 나눠주세요.
이 블로그 글은 에 작성되었으며, 최신 정보로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 새로운 시장 동향이 있을 때마다 내용을 보강하겠습니다.